박성균 (프로게이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성균은 대한민국의 전직 프로게이머로, 2006년 팬택앤큐리텔 큐리어스에 입단하여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2007년 곰TV MSL 시즌3에서 우승하며 최연소 개인리그 우승 기록을 세웠다. 이후 KT 롤스터를 거쳐 스타크래프트 II로 전향했으나, 2013년 은퇴 후 아프리카TV에서 방송을 진행했다. 주요 기록으로는 MSL 우승 1회, 다양한 개인 리그 입상 경력이 있으며, 김택용, 이영호, 이제동 등과 라이벌 관계를 형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KT 롤스터 - 우정호
우정호는 KTF 매직엔스 소속으로 프로리그에서 9연승을 기록하는 등 뛰어난 실력을 보였으나, 급성 백혈병 진단 후 투병 중 25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e스포츠계에 큰 슬픔을 안겨준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다. - KT 롤스터 - 데프트
데프트(김혁규)는 LCK와 LPL에서 활약하며 다수의 팀을 거쳤고 2014년 LCK 스프링 우승, 2015년 MSI 우승, 2016년 LPL 서머 우승, 2018년 LCK 서머 우승, 2022년 롤드컵 우승 등 수많은 업적을 남긴 대한민국의 전설적인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이다. - MSL 우승자 - 이제동
이제동은 2006년 프로게이머로 데뷔하여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에서 저그 최강자로 군림하며 메이저 개인리그 5회 우승을 차지했고, 스타크래프트 II로 종목을 전환하여 활동하다 2016년 은퇴 후 아프리카TV에서 개인 방송을 시작했다. - MSL 우승자 - 강민 (프로게이머)
강민은 독창적인 전략과 뛰어난 경기 운영으로 스타크래프트 역사상 최고의 선수 중 한 명으로 인정받았으며, 은퇴 후에는 e스포츠 해설가로 활동하며 e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인물이다. - 로열로더 - 이제동
이제동은 2006년 프로게이머로 데뷔하여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에서 저그 최강자로 군림하며 메이저 개인리그 5회 우승을 차지했고, 스타크래프트 II로 종목을 전환하여 활동하다 2016년 은퇴 후 아프리카TV에서 개인 방송을 시작했다. - 로열로더 - 박성준 (1986년)
박성준은 2002년 데뷔하여 저그 최초 온게임넷 스타리그 우승 및 로열로더 등극,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시절 세 차례 스타리그 우승, 2008년 EVER 스타리그 우승으로 두 번째 골든 마우스 수상 등 괄목할 만한 업적을 남긴 스타크래프트와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다.
박성균 (프로게이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박성균 |
랭킹 | 해당 없음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 | 1991년 10월 3일 |
출생지 | 대한민국 경기도 평택시 |
종족 | 테란 |
아이디 | Mind , Mindd[WHITE] |
별명 | 독사, 선비, 롬멜, 사막의 여우, 진시황, 이슬테란, 음주테란, 남주 |
소속팀 | 해당 없음 |
웹사이트 | 해당 없음 |
2. 선수 이력
2006년 상반기 드래프트에서 팬택앤큐리텔 큐리어스(현 위메이드 폭스)의 2차 지명으로 입단하였다. 데뷔 초 뛰어난 실력을 보였으나, 학업과 프로게이머 활동 병행에 어려움을 겪으며 성장세가 둔화되었다.[1]
2007년 가을, 곰TV MSL 시즌3에서 최연성(SK 텔레콤 T1), 마재윤 등 강자들을 꺾고 결승에 진출, 김택용(현 SK 텔레콤 T1)을 3: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1] 이는 최연소 개인리그 우승이자, 최연성 (스프리스 MSL) 이후 3년 3개월 만의 테란 MSL 우승, 그리고 MSL 첫 진출만에 우승한 네 번째 로열로더 기록이었다.[1]
곰TV MSL 시즌3 우승 이후 위메이드 폭스의 에이스로 활약하며, EVER 스타리그 2008 16강, 곰TV MSL 시즌4 4강,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 8강에 진출했다. 2009 시즌에는 부진했으나, EVER 스타리그 2009와 서바이버 토너먼트 2009 시즌2에 동시 진출하며 양대 리그에 복귀했다.[1]
2010년에는 MSL에 복귀했으나 16강 진출에는 실패했고, 대한항공 스타리그 시즌2에서도 연패하며 부진했다.[1] 그러나 박카스 스타리그 2010에서 16강에 진출, 공격적인 플레이 스타일로 변화를 꾀하며 8강까지 진출했다.[1]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초반까지 부진했으나, 박카스 스타리그 2010 이후 KT, 웅진을 상대로 좋은 성적을 거두며 기량을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다.[1]
2011년 8월, 위메이드 폭스 해체 후 KT 롤스터로 이적했다.[1] 이적 초기에는 적응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CJ 엔투스전 승리를 계기로 점차 나아지는 모습을 보였다.[1]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와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를 병행하던 시기에 부진을 겪었고, 스타크래프트 II로 전환된 프로리그에서는 출전 기회를 거의 얻지 못했다. 2013년 9월 30일부터 아프리카TV 방송을 시작하며 사실상 은퇴했다.[1]
2. 1. 프로 데뷔 이전
2006년 2월, 11개 프로게임단은 2006 시즌을 대비하여 준프로게이머와 아마추어가 참가할 수 있는 2006 구단평가전을 개최했다. 이 대회에서 당시 준프로게이머 신분이었던 박성균은 5승으로 다승 2위, 승률 1위를 기록하였다.[1]2. 2. 팬택앤큐리텔 큐리어스 (위메이드 폭스) 시절
2006년 상반기 드래프트에서 팬택앤큐리텔 큐리어스(현 위메이드 폭스)의 2차 지명으로 입단하였다. 데뷔 초 뛰어난 실력을 보였으나, 학업과 프로게이머 활동 병행에 어려움을 겪으며 성장세가 둔화되었다.[1]2. 2. 1. 곰TV MSL 시즌3 우승
2007년 가을, 곰TV MSL 시즌3 본선에 진출하며 메이저 개인리그에 데뷔하였고, 최연성(SK 텔레콤 T1), 마재윤 등의 우승 후보들을 연달아 꺾으며 결승에 올랐다. 결승전에선 MSL 3회 연속 우승을 노리던 김택용(현 SK 텔레콤 T1)에게 3:1로 완승을 거두며 생애 첫 우승컵을 차지하였다.[1]이는 당시 기준 최연소 개인리그 우승 기록이었으며, 최연성 (스프리스 MSL) 이후 3년 3개월 만에 재현된 테란의 MSL 우승이었다. 또한 MSL 첫 진출만에 우승을 차지한 네 번째 로열로더였다. 그리고 MSL 32강 체제에서 가장 낮은 지명 순위인 31번 시드로 우승을 차지했다.[1]
2. 2. 2. 우승 이후
곰TV MSL 시즌3 우승 이후 위메이드 폭스의 에이스로 자리매김하며 팀 성적에 크게 기여했고, EVER 스타리그 2008 16강, 곰TV MSL 시즌4에서 4강,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에선 8강에 올랐다.2. 2. 3. 부진과 회복
2009 시즌엔 기량이 하락하며 부진을 겪었으나, EVER 스타리그 2009 36강 및 서바이버 토너먼트 2009 시즌2에 동시 진출하며 양대 개인리그에 복귀하였다. 하지만, EVER 스타리그 2009에서는 김상욱에게 패하면서 16강 진출은 좌절됐다.[1]2010년 2월, 서바이버 토너먼트 2010 시즌1에 진출했고, 3월 4일 9조에서 2승 1패로 조 2위를 기록, MSL 본선에 복귀했다. 그러나 4월 6일 MSL 2010 C조에서 정명훈, 염보성에게 연달아 패하며 2패로 16강 진출에 실패했다.[1]
2010년 서바이버 토너먼트 시즌2와 대한항공 스타리그 시즌2에서 연달아 패하면서 본선 진출에 실패하였다. 계속되는 부진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역대 MSL 우승자 중 안타까운 모습을 보여주었다.[1]
2010년 박카스 스타리그 2010에서 조일장, 김성대를 2:0으로 연거푸 잡아내며 16강에 진출, 평소와는 다른 스타일을 보여주었다.[1]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초반기까지 극심한 부진을 보여주던 박성균은 2010년 박카스 스타리그 2010에서 기존의 지키는 플레이에서 공격적인 플레이로 스타일을 변화시켜 8강 진출에 성공, 그간의 부진을 조금씩 탈피하기 시작하였다.[1]
비록 김윤환에게 2:1로 석패하여 4강 진출은 이루지 못하였으나, MSL 아레나 MSL 16강, 스타리그 인크루트 스타리그 8강 이후 무려 2년, 스타리그 6시즌 만의 개인리그 토너먼트 진출이었다.[1]
2011년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에서도 스타리그 이후 KT, 웅진을 상대로 선봉 3킬과 2킬 등을 기록하면서 예전 위메이드 폭스 팀의 에이스로서의 기량을 서서히 회복하였다.[1] 그러나 2011년 역시 6번의 승리만을 챙기고 연이은 부진 등으로 박성균은 반짝 스타 대열에 합류하였다.[1]
2. 3. KT 롤스터 시절
2011년 8월 22일 위메이드 폭스 해체 후 공개 포스팅을 통해 주성욱과 함께 KT 롤스터로 이적했다.[1] 이적 초기 프로리그 3연패를 기록하며 적응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CJ 엔투스전에서 이경민을 상대로 승리하며 기량을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다.[1]2. 4. 스타2 전향과 은퇴
SK플래닛 시즌2에서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와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를 병행하던 시기에 박성균은 부진을 겪었다. 출전 기회를 거의 얻지 못했고, 출전할 때마다 대부분 패배했다. 그러나 2012년 8월 12일, 조병세와의 50분이 넘는 장기전 끝에 승리하며 부활하는 듯했다. 하지만 스타크래프트 II로 전환된 프로리그에서는 출전 기회를 거의 얻지 못했다. 게다가 FA 선언을 한 전태양이 KT 롤스터로 영입되면서 경쟁에서 더욱 밀려났다. 이후 2013년 9월 30일부터 아프리카TV 방송을 시작했는데, 이는 사실상 은퇴를 의미한다. 앞으로 방송을 통해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를 하는 모습을 당분간 더 볼 수 있게 되었다.[1]3. 주요 기록
박성균은 개인 리그에서 여러 차례 우승 및 상위 입상을 기록했다. 특히, 2007년 곰TV MSL 시즌3에서 김택용을 3: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1]
3. 1. 통산 전적
상대 종족 | 경기 수 | 승-패 | 승률 |
---|---|---|---|
대 테란 | 123 | 59–64 | 48.0% |
대 저그 | 88 | 49–39 | 55.7% |
대 프로토스 | 92 | 45–47 | 48.9% |
총합 | 303 | 153–150 | 50.5% |
3. 2. 개인리그 주요 기록
연도 | 대회명 | 성적 |
---|---|---|
2007년 | 곰TV MSL 시즌3 (3:1 김택용) | 우승 |
2008년 | 곰TV MSL 시즌4 | 3위 |
2008년 | EVER 스타리그 2008 | 16강 |
2008년 | 아레나 MSL 2008 | 16강 |
2008년 |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 | 8강 |
2009년 | BATOO 스타리그 08~09 | 36강 |
2009년 | EVER 스타리그 2009 | 36강 |
2010년 |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 | 36강 |
2010년 | 박카스 스타리그 2010 | 8강 |
2011년 | ABC마트 MSL 2011 | 8강 |
2015년 | 스베누 11차 소닉 스타리그 시즌 2 | 3위 |
4. 라이벌 관계
김택용과의 라이벌 관계는 2007년 곰TV MSL 시즌3 결승전에서 시작되었다. 당시 박성균은 김택용을 3:1로 꺾고 우승하며 모두를 놀라게 했다. 하지만 이후 박성균은 김택용에게 6연패를 당하는 등 약한 모습을 보였다. 2010년 6월까지 상대전적은 3:7로 박성균이 뒤쳐졌다.
스타크래프트 2로 처음 열린 경기에서 박성균이 김택용을 꺾으며 연패를 끊었고, 이후 헝그리앱 스타즈 리그에서도 승리했다. 그러나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에서는 김택용이 3:2로 승리하며 최종 상대전적은 8승 10패(스타1 기준 7승 10패)가 되었다.
날짜 | 승자 | 패자 | 대회 및 경기 |
---|---|---|---|
2007년 11월 17일 | 박성균 | 김택용 | 곰TV MSL 시즌3 결승전 1세트 |
2007년 11월 17일 | 김택용 | 박성균 | 곰TV MSL 시즌3 결승전 2세트 |
2007년 11월 17일 | 박성균 | 김택용 | 곰TV MSL 시즌3 결승전 3세트 |
2007년 11월 17일 | 박성균 | 김택용 | 곰TV MSL 시즌3 결승전 4세트 |
2008년 5월 16일 | 김택용 | 박성균 | EVER 스타리그 2008 D조 2주차 |
2009년 1월 28일 | 김택용 | 박성균 | 바투 스타리그 와일드카드 3강 2경기 |
2009년 3월 7일 | 김택용 | 박성균 |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3라운드 |
2009년 11월 21일 | 김택용 | 박성균 |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라운드 |
2010년 6월 23일 | 김택용 | 박성균 |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 36강 F조 1차전 1세트 |
2010년 6월 23일 | 김택용 | 박성균 |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 36강 F조 1차전 2세트 |
2012년 12월 3일 | 박성균 | 김택용 |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2 프로리그 시즌 2 프리매치 5세트 |
2015년 1월 31일 | 박성균 | 김택용 | 헝그리앱 스타즈 리그 위드 콩두 8강 3경기 1세트 |
2015년 2월 1일 | 박성균 | 김택용 | 헝그리앱 스타즈 리그 위드 콩두 8강 3경기 2세트 |
2015년 8월 12일 | 김택용 | 박성균 |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 4강 1세트 |
2015년 8월 12일 | 박성균 | 김택용 |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 4강 2세트 |
2015년 8월 12일 | 김택용 | 박성균 |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 4강 3세트 |
2015년 8월 12일 | 박성균 | 김택용 |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 4강 4세트 |
2015년 8월 12일 | 김택용 | 박성균 |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 4강 5세트 |
이영호와의 경기에서는 공식전 0:8, 비공식전 포함 1:12로 박성균이 크게 뒤졌다.[1] 2011년 같은 팀이 되면서 개인리그 외에는 만날 기회가 없었고, 2013년 박성균의 은퇴로 더 이상의 대결은 불가능해졌다.[1]
이제동은 신동원과 함께 박성균에게 강한 저그 선수로 꼽힌다. 공식전 3:6, 비공식전 포함 4:8로 박성균이 밀리는 전적을 보였다.[1]
날짜 | 승리 | 패배 | 대회 및 경기 |
---|---|---|---|
2006년 2월 28일 | 박성균 | 이제동 | 온게임넷 배틀로열 P&C vs 르까프 3경기 |
2006년 11월 15일 | 이제동 | 박성균 | 2006 3차 듀얼토너먼트 6조 16강 1경기 |
2006년 11월 15일 | 이제동 | 박성균 | 2006 3차 듀얼토너먼트 6조 16강 2경기 |
2007년 6월 27일 | 이제동 | 박성균 | 1차 스타챌린지 2007 E조 승자전 |
2008년 2월 28일 | 박성균 | 이제동 | 곰TV MSL 시즌4 4강 B조 1경기 |
2008년 2월 28일 | 이제동 | 박성균 | 곰TV MSL 시즌4 4강 B조 2경기 |
2008년 2월 28일 | 이제동 | 박성균 | 곰TV MSL 시즌4 4강 B조 3경기 |
2008년 2월 28일 | 이제동 | 박성균 | 곰TV MSL 시즌4 4강 B조 4경기 |
2008년 5월 21일 | 박성균 | 이제동 |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1라운드 위메이드 vs 르까프 2세트 |
2008년 6월 4일 | 박성균 | 이제동 |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2라운드 르까프 vs 위메이드 2세트 |
2009년 2월 23일 | 이제동 | 박성균 |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3라운드 화승 vs 위메이드 7세트 |
2011년 11월 29일 | 이제동 | 박성균 | SK플래닛 프로리그 11-12 시즌1 1라운드 제8게임단 vs KT 4세트 |
4. 1. 김택용
2007년 가을에 열렸던 곰TV MSL 시즌3 결승전에서 박성균이 김택용을 3:1로 꺾고 우승하면서 두 선수 간의 라이벌 관계가 형성되었다. 당시 대부분의 사람들은 김택용의 승리를 예상했지만, 박성균은 예상을 뒤엎고 승리했다. 결승전 이후 박성균은 김택용에게 약한 모습을 보이며 2010년 6월까지 6연패를 당하기도 했다.2010년 6월까지 두 선수 간 상대전적은 3:7로 박성균이 밀리고 있었다. 하지만 스타크래프트 2로 처음 열린 경기에서 박성균이 김택용을 상대로 승리하며 연패를 끊었고, 상대전적도 6:7이 되었다. 이후 헝그리앱 스타즈 리그에서 다시 만나 박성균이 승리했으나,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에서는 김택용이 3:2로 승리했다. 이로써 두 사람 사이의 상대전적은 8승 10패(스타1 기준으로는 7승 10패)가 되었다.
날짜 | 승자 | 패자 | 대회 및 경기 |
---|---|---|---|
2007년 11월 17일 | 박성균 | 김택용 | 곰TV MSL 시즌3 결승전 1세트 |
2007년 11월 17일 | 김택용 | 박성균 | 곰TV MSL 시즌3 결승전 2세트 |
2007년 11월 17일 | 박성균 | 김택용 | 곰TV MSL 시즌3 결승전 3세트 |
2007년 11월 17일 | 박성균 | 김택용 | 곰TV MSL 시즌3 결승전 4세트 |
2008년 5월 16일 | 김택용 | 박성균 | EVER 스타리그 2008 D조 2주차 |
2009년 1월 28일 | 김택용 | 박성균 | 바투 스타리그 와일드카드 3강 2경기 |
2009년 3월 7일 | 김택용 | 박성균 |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3라운드 |
2009년 11월 21일 | 김택용 | 박성균 |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라운드 |
2010년 6월 23일 | 김택용 | 박성균 |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 36강 F조 1차전 1세트 |
2010년 6월 23일 | 김택용 | 박성균 |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 36강 F조 1차전 2세트 |
2012년 12월 3일 | 박성균 | 김택용 |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2 프로리그 시즌 2 프리매치 5세트 |
2015년 1월 31일 | 박성균 | 김택용 | 헝그리앱 스타즈 리그 위드 콩두 8강 3경기 1세트 |
2015년 2월 1일 | 박성균 | 김택용 | 헝그리앱 스타즈 리그 위드 콩두 8강 3경기 2세트 |
2015년 8월 12일 | 김택용 | 박성균 |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 4강 1세트 |
2015년 8월 12일 | 박성균 | 김택용 |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 4강 2세트 |
2015년 8월 12일 | 김택용 | 박성균 |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 4강 3세트 |
2015년 8월 12일 | 박성균 | 김택용 |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 4강 4세트 |
2015년 8월 12일 | 김택용 | 박성균 |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 4강 5세트 |
4. 2. 이영호
이영호와의 상대 전적은 공식전만으로는 0:8, 비공식전까지 합치면 1:12로 박성균이 매우 밀린다.[1] 2011년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부터 이영호와 같은 팀이 되면서 개인리그가 아니면 둘의 대결을 볼 수 없게 되었다.[1] 박성균은 2013년 가을에 은퇴하여 더 이상 둘의 대결은 성사될 수 없다.[1]상세 전적은 다음과 같다.
4. 3. 이제동
신동원과 함께 박성균의 천적 저그로 꼽힌다. 공식전 3:6, 비공식전 포함 4:8로 박성균이 밀리는 상대 전적을 기록했다.[1]날짜 | 승리 | 패배 | 대회 및 경기 |
---|---|---|---|
2006년 2월 28일 | 박성균 | 이제동 | 온게임넷 배틀로열 P&C vs 르까프 3경기 |
2006년 11월 15일 | 이제동 | 박성균 | 2006 3차 듀얼토너먼트 6조 16강 1경기 |
2006년 11월 15일 | 이제동 | 박성균 | 2006 3차 듀얼토너먼트 6조 16강 2경기 |
2007년 6월 27일 | 이제동 | 박성균 | 1차 스타챌린지 2007 E조 승자전 |
2008년 2월 28일 | 박성균 | 이제동 | 곰TV MSL 시즌4 4강 B조 1경기 |
2008년 2월 28일 | 이제동 | 박성균 | 곰TV MSL 시즌4 4강 B조 2경기 |
2008년 2월 28일 | 이제동 | 박성균 | 곰TV MSL 시즌4 4강 B조 3경기 |
2008년 2월 28일 | 이제동 | 박성균 | 곰TV MSL 시즌4 4강 B조 4경기 |
2008년 5월 21일 | 박성균 | 이제동 |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1라운드 위메이드 vs 르까프 2세트 |
2008년 6월 4일 | 박성균 | 이제동 |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2라운드 르까프 vs 위메이드 2세트 |
2009년 2월 23일 | 이제동 | 박성균 |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3라운드 화승 vs 위메이드 7세트 |
2011년 11월 29일 | 이제동 | 박성균 | SK플래닛 프로리그 11-12 시즌1 1라운드 제8게임단 vs KT 4세트 |
5. 별명
- '''진시황 테란''' - 2009년 9월 30일 EVER 스타리그 2009 오프라인 예선에서 W조에 속했던 박성균이 결승 3경기에서 테란 대 저그전에서는 보기 힘들 만큼 많은 터렛을 건설하여 만리장성을 쌓았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별명이다.[1]
- '''박선비''' - 박성균의 이름인 '성균'이 성균관대학교를 연상시켜 성균관 대학교의 이미지인 유학과 선비를 연결시켜 나온 별명이다. 김택용과의 곰TV MSL 시즌 3 결승전에서 마패 관광(상대방 진영에 커맨드 센터 짓기)을 하였다고 해서 더욱 굳혀졌다.[1]
- '''롬멜 테란''' - 독일 방위군 롬멜 총사령관에서 따온 말이다. 기갑부대 활용에 뛰어난 재능을 보인다고 해서 붙여진 별명이다. 혁명가 김택용에게 반기를 들었다 해서 붙여진 별명이기도 하다.[1]
- '''사막의 여우''' - 롬멜의 별명인 사막의 여우가 박성균에게도 붙여졌다. 소속 선수단 '위메이드 폭스'와도 뜻이 일맥상통한다.[1]
- '''성규리''' - 2008년 상반기 때 웃고 있는 박성균 선수의 사진이 소녀시대 유리의 사진에 합성되면서 성규리로 불렸다.[1]
- '''독사''' - 독사가 발목을 물듯 날카롭고 무서운 플레이와 옥죄는 듯한 느낌 때문에 붙여졌다. 팀 내에서 주로 불렸다.[1]
- '''노잼 테란''' - 재미가 없다는 말로 어느 순간부터 스타계의 노잼을 떠올리면 박성균, 진영화를 떠올리게 하는 수준이 되었다.(진영화는 썰렁한 농담을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1]
- '''모이 테란''' - 유독 윤용태에 압도적으로 밀리는 상대전적에서 비롯된 별명이다. 윤용태가 '용새'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어 박성균은 '새밥', '모이 테란' 등으로 불리게 됐다.[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